-
AWS auto scaling 을 사용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CLOUD 2016. 7. 17. 17:00
간혹 auto scaling 을 사용하면 서비스 중단없이 인프라 자원이 확장되었다 축소되었다 하는걸로 환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AWS 에서 제공하는 auto scaling 을 인프라 자원에 대한 확장이고 서비스는 그들의 관심사가 아니다 서비스를 무중단으로 auto scaling 하는 것은 운영자의 몫.. 관련하여 auto scaling 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리와 최대한 서비스를 중단시키지 않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차근차근 확인해보려고 한다. 일단 이번에는 auto scaling 의 개념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았다. 1. Auto Scaling Lifecycleauto scaling group 의 EC2 인스턴스는 다른 EC2 인스턴스의와 다른 경로 또는 수명주기를 가지고..
-
cloud Automation 과 Orchestration 의 차이CLOUD 2016. 6. 21. 16:09
클라우드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부터 orchestration 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대충 무엇을 이야기 하고자 하는지 정도만 파악하고 있었는데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플랫폼 (CMP) 솔루션을 준비하면서 orchestration 과 automation 이 무엇인지 조금 명확히 해야할 필요가 생겼다. 이 포스팅을 읽고 다니 대략적인 개념이 잡히는 것 같아 공유한다. 아래 포스팅을 읽고 내가 생각한대로 정리했으니 90% 정도만 신뢰하길 바란다. 원본 : http://www.logicworks.net/blog/2015/05/cloud-automation-vs-cloud-orchestration/ ================================================================..
-
일반 계정으로 tomcat 을 80 포트로 연결하고 443 포트로 SSL 리다이렉션 설정HOWTO 2016. 6. 20. 09:08
관리하고 있는 사이트에서는 apache 같은 웹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톰캣을 통해 웹을 바로 띄우고 있다. 연결된 도메인도 있어 도메인에 별도 포트를 붙이는 것은 원치 않아 80 으로 기동하려고 하다보니 1024 포트 하위는 root user 로만 기동할 수 있다는 제약사항이 있었다. (사용중인 OS 는 RHEL 5.11 / TOMCAT 8 버전) tomcat 을 root 유저로 띄우자니 일부 일반계정으로 액세스 해야 하는 부분에서 권한 문제로 접근이 어려워 일반 유저로 tomcat 을 띄우되 도메인에서는 80 포트로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이런 저런 검색 결과 3가지 정도로 압축되었다. 1. AUTHBIND 설정 2. CAP_NET_BIND_SERVICE 설정 3. IPTABLES 를 통한..
-
Error 2003: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127.0.0.1' (99 "Cannot assign requested address"HOWTO 2016. 6. 16. 12:40
오픈스택의 ceilometer 에서 미터링 데이터를 불러와서 mariadb 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python 프로그램이 있는데 어느날인가부터 데이터 누락이 생기는 거 같아 확인하다보니 데이터 호출 시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면서 TCP 세션이 증가하는 현상이 있었다.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환경은 Centos 6.6 에 10.1.13-MariaDB 를 사용중이다) Error 2003: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127.0.0.1' (99 "Cannot assign requested address") 또한 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netstat -nt 명령어를 통해 세션상태를 확인한 결과 TIME_WAIT 상태의 세션이 12000 여개 정도로 증가하고 있었다. TIME_WA..
-
mkfs.ext4: command not found (RHEL 5.11)HOWTO 2016. 6. 15. 09:11
새로운 파일시스템 구성이 필요해서 LVM 구성한 LV 를 파일시스템으로 생성하려고 평소와 다름없이 mkfs.ext4 명령어를 쳤는데아래와 같이 커맨드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하였다. # mkfs.ext4 /dev/bkvg01/bklv001-bash: mkfs.ext4: command not found /sbin 하위에 있는 mkfs 명령어의 환경변수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건가 확인해 보았는데 /sbin 은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sbin 디렉토리를 찾아가서 확인해 보니 아니 이게 뭐람 mkfs.ext2 , 3 다 있는데 mkfs.ext4 만 없다. # ls -lt /sbin/mkfsmkfs mkfs.cramfs mkfs.ext2 mkfs.ext3 mkfs.msdos mkfs.vfat mkfs.ex..
-
The State of Containers and the Docker Ecosystem 2015HOWTO 2016. 6. 11. 20:54
docker ecosystem 에 대해 알아보던 중 찾은 내용으로docker 를 다들 어떻게 사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고민이 있는지 조금이나마 파악할 수 있다. 원래 리서치 항목이 더 많은데 아래는 내가 궁금했던 것에 대해서만 옮겨왔다. - 내가 봤던 원본 항목은 아래와 같음 http://wiki.tunelinux.pe.kr/display/sysadmin/The+State+of+Containers+and+the+Docker+Ecosystem%3A+2015 컨테이너 도입 목적85% 빠르고 쉬운 배포62% 유연한 배포54% better isolation(보안)48% 아키텍쳐(마이크로서비스)30% 비용 절감컨테이너 도입 현황86% Dev64% Testing43% Staging/pre-production40% P..